목적
특수 외국어 교육 기반 조성으로 특수외국어를 배우려는 국민들에게 다양하고 전문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, 특수외국어 구사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
추진배경
-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제정·시행(’16.8.2.)
- 제2차 특수외국어교육 진흥 5개년 기본계획(’21.9.8.)
- 국가 전략지역 진출·교류에 대비한 특수외국어 전문 인력 수요 증대
- 해외 한류 확산, 국제교류협력 다변화를 뒷받침하는 전문인재 수요 증가
- 국내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체계적인 언어교육 지원 필요
주요 추진 과제
- 사회적 요구에 따른 맞춤형 전문인재 양성
- 모두를 아우르는 대국민 서비스 확대
- 교육기반 고도화 및 운영 내실화
특수외국어 전문교육기관 운영 현황
선정 전문교육기관, 지원 언어 으로 구성된 특수외국어 전문교육기관 운영 현황 테이블
선정 전문교육기관 |
지원 언어 |
언어수 |
단국대·청운대
(컨소시엄)
|
몽골어, 베트남어, 아랍어, 포르투갈어·브라질어 |
4개 |
부산외국어대학교 |
미얀마어, 베트남어, 아랍어, 인도네시아어·말레이시아어, 크메르어, 터키어, 태국어, 힌디어,
(신규) 이탈리아어, 라오스어 |
10개 |
한국외국어대학교 |
몽골어, 스와힐리어, 우즈베크어, 이란어, 인도네시아어·말레이시아어, 터키어, 태국어, 포르투갈어·브라질어, 폴란드어, 헝가리어, 힌디어,
(신규) 이탈리아어, 라오스어, 네덜란드어, 카자흐어, 스웨덴어
|
16개 |